[시] 꽃과 열매의 거리 6 / 김주완 [2013.06.11] [시] [2013.07.29. 경북문협 100인 시화전 기고] 꽃과 열매의 거리 6 / 김주완 지척이다 천리, 만리이다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5시집 그늘의 정체[2014] 2013.06.11
[시] 꽃과 열매의 거리 5 / 김주완 [2013.06.11.] [시] 해동문학 2013년 겨울호(통권 84호) 127수록 꽃과 열매의 거리 5 / 김주완 이슬이 맺히듯, 한이 맺히듯 아름다움도 그 절정에서는 둥글게 맺힌다 열매이다 산의 꼭대기는 뾰족하지만 산정의 설렘은 파문처럼 둥글게 번져 나간다 사랑하다 맞는 이별은, 떨어져 굴러가는 미숙한 열매이다 ..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4시집 오르는 길이 내리는 길이다[2013] 2013.06.11
[시] 꽃과 열매의 거리 4 / 김주완 [2013.06.11.] [시] <월간 한국시 2013. 11월호(통권 295호) 37~38쪽 발표> <경북시학 제5집(2014.12.15.) 118쪽 발표> [제6시집] 꽃과 열매의 거리 4 / 김주완 알려지지 않은 조그만 별 하나 창공에서 불타고 있습니다 눌러도 억눌러도 마디마디 터져 나오는 불길, 사루비아 꽃처럼 붉고 뜨겁습니다 손대면 ..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6시집 주역 서문을 읽다[2016] 2013.06.11
[시] 그늘에서 피는 꽃 / 김주완 [2013.05.21.] [시] [2013.09.10~09.24. 제6회 언령 왜관역전 시화전 출품] [제6시집] 그늘에서 피는 꽃 / 김주완 그늘에서도 꽃이 핀다 수심의 빛깔이 배어든 푸른 미소가 파리하고 애절하게 핀다 눈을 피해서 숨어든 조용한 입속말 사랑처럼 속 깊이 저미는 아픔에서 배어나오는 색깔의 그늘에서 피는 꽃이 ..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6시집 주역 서문을 읽다[2016] 2013.05.22
구름꽃 1 / 김주완 [제1시집『구름꽃』(1986)] 구름꽃 1 / 김주완 처음에 너는 지리산 천왕봉 아래 뱀사골 부근을 휘돌아 내리거나 화엄사나 쌍계사 계곡 아래로 콸콸 뛰어 내리던 질박한 소리, 투명한 노래였을 것이다. 맑아서 가늠할 수 없는 네 깊이를 그때부터 추스르고 먼 바다와 빈 하늘 모퉁이로 날마다 하나씩 꿈을 ..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1시집 구름꽃[1986] 2011.03.01
구름꽃 2 / 김주완 [제1시집『구름꽃』(1986)] 구름꽃 2 / 김주완 마침내 눈과 귀가 뜨인다. 하늘 아래 넓은 세상의 그저 한 줌 물이던 실체. 목마른 아우성으로 광란하는 군생群生의 들풀 속을 연기로 승천하며 시간을 여미는 고요한 몸짓. 어디까지 올라야 하는지 언제쯤 그쳐야 하는지, 하고 싶은 무엇이 있으며 또한 무..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1시집 구름꽃[1986] 2011.03.01
구름꽃 3 / 김주완 [제1시집『구름꽃』(1986)] 구름꽃 3 / 김주완 산청 하늘이 푸른 날이면 더러 피어나는 모습을 본다. 빈 모습으로 높고 먼 곳에 자리 잡은, 순백의 영원한 표상으로 일상의 속기를 씻는 지혜의 몸짓. 흐린 날이나, 추적이며 온 몸이 비로 내리는 날엔 무너진 형상의 변질로 또 한 번 겪는 서러운 그리움과 ..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1시집 구름꽃[1986] 2011.03.01
구름꽃 4 / 김주완 [제1시집『구름꽃』(1986)] 구름꽃 4 / 김주완 언젠가는 스러져 버릴 뚫은 창으로 보는 작은 평면 한 폭, 그림으로 피어나는 순백의 풍요한 몸짓이 어둔 내밀內密의 공간을 채워 오고 있는데 연緣의 한계를 알아 한정된 시간을 우선은 잊고 싶은 아픈 영혼의 그림자 갈기갈기 찢기어 펄럭여도 언젠가 바..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1시집 구름꽃[1986] 2011.03.01
구름꽃 5 / 김주완 [제1시집『구름꽃』(1986)] 구름꽃 5 / 김주완 돌아오는 길은 늘 혼자였다. 생비랑을 지나 생초도 마리도 지나 해발 삼백 미터 인위의 경계 산마루를 넘는다. 인공의 기계장치가 밀려진 레버의 동인動因으로 일정한 시차時差를 따라 동일 면적을 닦아도 닦아도 어릿한 전방, 내가 쏟은 정성의 시간에 힘..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1시집 구름꽃[1986] 2011.03.01
구름꽃 6 / 김주완 [제1시집『구름꽃』(1986)] 구름꽃 6 / 김주완 목소리만으로는 알 수가 없다 표정만으로도 알 수가 없다 몸짓만으로도 알 수가 없다. 깊은 골짜기 감아드는 안개 아래로 심저心底의 또 하나의 세계는 혼자만의 변신을 끝없이 되풀이 하는 타인他人 불가침의 순환생태계, 얼마만큼의 변화와 어느 만큼의 ..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1시집 구름꽃[1986] 2011.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