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논문/문학 논문 15

[발표문] 모암, 일휴정 양 선생의 시 정신이 갖는 현대적 의미_김주완

모암ㆍ일휴정 양 선생의 시 정신이 갖는 현대적 의미 김주완 1. 들어가며 2. 모암 이충민 선생의 시 해명 2-1. 모암 시의 분류 2-1-1. 모암 시의 주제별 분류 2-1-2. 모암 시의 형식별 분류 2-2. 모암의 시 정신 2-2-1. 근본가치로서의 효(孝) 2-2-2. 특수가치로서의 진선미도교(眞善美道敎) 가) 자연주의를 지향하는 철학적 시 정신 - 진(眞) 나) 북창으로 향하는 시 정신 : 절의와 청백의 궁구 - 선(善) 다) 달과 꽃의 상징성 : 서정적 미의식 - 미(美) 라) 도를 찾아 주유하는 시 정신 - 도(道) 마) 인재의 숭상과 교육 - 교(敎) 2-3. 모암의 학문과 삶의 근원으로서의 거창 3. 일휴정 이영세 선생의 시 해명 3-1.일휴정 시의 분류 3-1-1. 일휴정 시의 주제별 ..

[발표문] 구상 강문학의 존재론적 본질/김주완

학술발표회 [낙동강과 구상 시인] 2022.09.16.금.15:40~16:40/상주시 낙동강문학관 구상 강문학의 존재론적 본질 김주완 ― 다섯 개의 길잡이 말 ― 1. 예배를 보듯 강에 나아간다. 2. 세상에는 시 아닌 것이 하나도 없다. 3. 홀로서 가야만 한다. 4. 우리는 신의 숨결처럼 자유에 충만해 있다. 5. 영원 속에서 태어난 존재의 끝은 없다. 우리는 몇 가지 문제점에 먼저 마주친다. ‘강문학’이란 무엇인가? 한 시인의 작품들 속에서 강문학에 속한 작품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작품을 얼마나 명료하게 추출해 낼 수 있는가? 강문학을 존재론적으로 천착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 보편적으로 도출되어 있는 기성 연구의 결과나 문단의 합의는 없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확립된 ..

[발표문] 구상 '강' 문학의 동양적 융합 사유/장윤수

학술발표회 [낙동강과 구상 시인] 2022.09.16.금.15:40~16:40/상주시 낙동강문학관 구상 ‘강’문학의 동양적 융합 사유 장윤수 [목차] Ⅰ. 구상 시인의 삶과 문학, 그 회통會通과 격의格義의 양상 Ⅱ. ‘강’과 ‘물’의 동양적 뿌리 사유 Ⅲ. 위기지학爲己之學, 자기성찰을 노래하다 Ⅳ. 소요자재逍遙自在, 천진난만을 노래하다 Ⅴ. 진공묘유眞空妙有, 영원 속의 오늘을 노래하다 Ⅵ. 맺음말 Ⅰ. 구상 시인의 삶과 문학, 그 회통會通과 격의格義의 양상 호르크하이머는 “이론은 역사적 과정의 한 요소이고, 그 의미는 항상 일정한 역사적 상황과의 연관성 속에서 규정된다.”[Horkheimer, 1977: 136]고 하였다. 시‧공간의 틀을 갖고 있는 역사적 상황이 어떤 사상체계를 이해하는데 얼마나 중요한..

[발표문] 구상 시인의 생애와 왜관 낙동강/김인숙

학술발표회 [낙동강과 구상 시인] 2022.09.16.금.15:40~16:40/상주시 낙동강문학관 구상 시인의 생애와 왜관 낙동강 김인숙 목 차 1. 들어가며 2. 구상의 생애와 왜관 시대 2.1 구상의 생애(출생에서 왜관시대까지) 2.2 왜관 정착과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2.3 순심의원, 강단, 언론계, 투병 2.3.1 순심의원 2.3.2 강단 2.3.3 언론계 2.3.4 투병 2.4 왜관 시대에 만난 사람들 2.4.1 대통령 박정희 2.4.2 시인 공초 오상순 2.4.3 천재 화가 이중섭 2.4.4 철학자ㆍ아나키스트 하기락 2.5 「강」 연작시의 시작 3. 구상문학관과 언령 3.1 구상문학관 개관-대구 경북 최초의 문학관 3.2 서울에서의 동인 결성과 무크지 발간 시도와 중단 3.3 구상문학관 시..

[초청특강 원고] 낙동강 문학의 미래-(2020.09.12. 제70회 낙강시제)/김주완

youtu.be/qHIQoWb945I [초청특강 원고] 낙동강 문학의 미래-(2020.09.12. 제70회 낙강시제) 일시 : 2020.09.12.(토) 15:30 장소 : 낙동강문학관(경북 상주시 중동면 갱다불길 100 수록 : 제70회 낙강시제 시선집 270쪽~288쪽 * COVID-19 방역 수칙을 준수하여 비대면 생방송으로 진행된 행사였습니다. * 낙동강 문학의 미래 김주완 〈목 차〉 Ⅰ. 논의의 전제와 한계 Ⅱ. 낙동강 문학이란? Ⅲ. 한국의 문학관과 낙동강문학관 Ⅳ. 상주문학 ― 박찬선 ― 낙동강 문학 Ⅴ. 낙동강 문학의 미래 ① 모이는 문학 ② 흐르는 문학 ③ 바다로 가는 문학 ④ 상선(上善)을 추구하는 문학 ⑤ 인공지능과의 관계 Ⅵ. 맺으며 강은 과거에 이어져 있으면서 과거에 사로잡히지 않..

[기조 발표문] 해양시 '해무'의 철학적 시문학적 고찰-2019 지역사회학회 해양사회학회 국제학술대회

2019년 지역사회학회·해양사회학회 춘계 국제학술대회 [기조발표] 2019.05.17.금.13:40~14:00 부경대학교 장보고관 3층 리더십홀 해양시(詩) 「해무(海霧)」의 철학적-詩문학적 고찰 김주완 밝은 미래도 없고 어두운 미래도 없다. 밝은 미래는 기원이나 소망의 형식이고 어두운 미래는 체념이나 절망의 형식이다. 그러나 그런 것은 없다. 미래는 아직 아무 것도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의 형식은 무형식이다. 그렇다면 미래의 내용은 무엇인가? 불확실성이다. ‘불확실성’을 ‘확실하게 아는 것이 없는’ 무지(無知)라고 이해한다면 그것은 곧 무(無)로 수렴될 것이므로 불확실성은 ‘내용 없음’이 된다. 미래의 형식은 무형식이고 미래의 내용은 ‘내용 없음’이다. ‘형식 없는 내용은 공허하고 내용..

[논문] 시낭송에 대한 철학적 해명과 시낭송 치료의 가능성 모색/김주완

시낭송에 대한 철학적 해명과 시낭송 치료의 가능성 모색 김주완 Ⅰ. 시낭송의 연원과 역사적 전개 시낭송의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 샤먼의 주술행위에서 찾을 수 있다. 원시사회의 샤먼은 인간과 신을 연결하는 가교였으며 신의 명령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신성한 매개자였다. 샤먼은 신과 소통하기 위하여 일상인의 말과는 다른 말로 노래하고 춤추며 기도했을 것이다. 이러한 샤먼의 행위는 오늘날의 시낭송과 흡사하다. 노래와 기도는 낭송과 연결되고 춤은 낭송가의 몸짓과 연결되며 노래와 기도의 내용(가사)은 시와 연결된다. 물론 샤먼의 주술행위는 시낭송만의 연원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음악, 무용, 문학, 연극 등 여러 예술로 분화했다는 가설이 있어 왔고 그것은 또한 공감이 가는 설명이다. 원시인들이 사냥에서 돌아와 풍성..

[논문] 시의 정신치료적 기능에 대한 철학적 정초 / 김주완

이 논문은 철학연구 제100집, 대한철학회, 2006.11.30. 255~280쪽.에 수록되어 있음. 시의 정신치료적 기능에 대한 철학적 정초 김 주 완(대구한의대 교수) [논문개요] 이 글은 시치료를 정신철학적으로 정위하여 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신체치료와 정신치료의 개념..

[논문] 니콜라이 하르트만 철학에서 정신과 언어 / 김주완

이 논문은 [철학연구] 제86집, 대한철학회, 2004.05.31., 91~114쪽.에 수록되었음. 니콜라이 하르트만 철학에서 정신과 언어 김주완(경산대학교 교수) [논문개요] 이 논문은 니콜라이 하르트만의 언어관을 해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니콜라이 하르트만은 언어철학자가 아니며 언어를 독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