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암ㆍ일휴정 양 선생의 시 정신이 갖는 현대적 의미 김주완 1. 들어가며 2. 모암 이충민 선생의 시 해명 2-1. 모암 시의 분류 2-1-1. 모암 시의 주제별 분류 2-1-2. 모암 시의 형식별 분류 2-2. 모암의 시 정신 2-2-1. 근본가치로서의 효(孝) 2-2-2. 특수가치로서의 진선미도교(眞善美道敎) 가) 자연주의를 지향하는 철학적 시 정신 - 진(眞) 나) 북창으로 향하는 시 정신 : 절의와 청백의 궁구 - 선(善) 다) 달과 꽃의 상징성 : 서정적 미의식 - 미(美) 라) 도를 찾아 주유하는 시 정신 - 도(道) 마) 인재의 숭상과 교육 - 교(敎) 2-3. 모암의 학문과 삶의 근원으로서의 거창 3. 일휴정 이영세 선생의 시 해명 3-1.일휴정 시의 분류 3-1-1. 일휴정 시의 주제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