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 자아 - 1 / 김주완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떤 사람인가?> 이 물음에 대한 자기대답이 자아관이다. 명확한 자아관을 가진다는 것은 쉽지 않다. 정확하지도 않다. 우리는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하는 자기 자신에 대하여 사실은 가장 잘 모르고 있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15
[단상] 구상 시인의 덕담 / 김주완 <그래, 그래, 그 집은 별고 없는지요?> 생전의 구상 시인이 자주 하던 인사말이다. 참 인자하고 배려하는 여유를 가졌던 분이다. 손아랫사람에게도 <하게체>를 쓰셨다. <그래, 그래>는 상대에 대한 전적인 긍정과 신뢰의 덕담이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14
[단상] 자기수용 / 김주완 부자는 더 큰 부자가 되고 싶어 하고 권력자는 더 강한 권력자가 되고 싶어 한다. <조금만 더>라는 갈망에 붙들려 있을 때 인간은 그것의 노예가 된다. <이만하면 됐어>라는 자기수용은 스트레스를 밀어내는 탄력성이다. 건강성의 원천이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13
[단상] 행복의 능력 - 2 / 김주완 행복해지는 능력은 물질보다 마음에 있다. 소유보다 양보에 있다. 아집보다 배려에 있다. 무엇보다 <나는 행복할 수 있다>는 믿음에 있다. 그것이 곧 행복에 대한 자신감이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12
[단상] 행복의 능력 - 1 / 김주완 행복하고 싶은 것은 인간의 본능적 의지이다. 누구나 행복하게 살 권리와 자격이 있다. 행복은 선물처럼 누가 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방법에서 몽매하다. 행복해지는 능력을 길러야 행복해 질 수 있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11
[단상] 생활 만족도 / 김주완 현대인의 생활 만족도는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만족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어떤 직장을 다니느냐 보다 어떤 생각으로 그 직장을 다니느냐가 더 중요하다. 직장이나 돈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자기 성실이고 자기 성취이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10
[단상] 마음과 삶 / 김주완 나의 마음이 나의 삶을 만든다. 어떤 마음을 가지느냐 하는 것은 오로지 자기 자신에게 달려 있다. 행복한 마음을 가질 때 삶이 행복해진다. 감사한 마음을 가질 때 만족하는 삶이 만들어진다. 긍정하는 마음을 가질 때 세상은 밝아진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09
[단상] 자신감 2 / 김주완 자신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자신의 가치에 대한 믿음>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곧 자기신뢰와 자기존중이다. 자기를 가장 존중해 줄 사람은 자기 자신이다. 주인이 자기 집 개를 발로 차면 지나가던 남도 찬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08
[단상] 자신감 1 / 김주완 자신감은 가지되 자만심은 버려야 한다. 자신감은 성공을 견인하고 자만심은 실패를 재촉한다. 자신감은 자기 자신을 믿는 마음이고 자만심은 스스로 거만해지는 마음이다. 자신감은 인생의 성공을 위한 최우선의 조건이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07
[단상] 완전수 / 김주완 서양인은 완전수를 7로 생각하고 동양인은 5로 생각한다. 서양인은 무지개를 칠색으로 보고 동양인은 오색찬란하다고 한다. 문화적 차이라고 보면 될까? 완전은 어디에도 없고 모든 곳에 있다. 시론·단상·기사/[時論 · 斷想] 世上萬事 2011.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