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박곤걸 시의 존재론 / 김주완 이 논문은 철학논총, 제30집, 새한철학회, 2002.10.01. 223~247쪽에 수록되었음 박곤걸 시의 존재론 ― 박곤걸 제6시집『화천리 무지개』를 중심으로― 김 주 완(경산대) [한글요약] 이 소론은 시인 박곤걸의 작품세계를 존재론적으로 해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 있어서 텍스트는 박곤걸의 제6시집『화.. 학술 논문/문학 논문 2002.10.01
[논문] 하기락과 자유 / 김주완 이 논문은 철학연구 제64집, 대한철학회, 1998.02.03, 21~46쪽.에 수록되었음. 하기락과 자유* 경산대학교 김주완 우리가 한 사람의 일생을 조망하고 규정한다는 것이 도대체 가능한 일인가? 그것도 짧거나 평균적인 생애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장수라고 보는 생애이며, 더욱이 그러한 생애를 참으로 열심히 .. 학술 논문/문학 논문 2001.01.03
[논문] 문인수의 시 「간통」에 대한 미학적·가치론적 고찰 / 김주완 <이 논문은 철학연구 제62집, 대한철학회, 1997, 59-92쪽에 수록되었음.> 문인수의 시 「간통」에 대한 미학적·가치론적 고찰 김 주 완 1. 문인수의 시 「간통」1)은 계간지 『시와 반시』 1996년 여름호에 실려 있다. 이 시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졌는지, 그리고 이 시를 .. 학술 논문/문학 논문 2001.01.02
[논문] 시와 언어 : M.하이데거와 N.하르트만의 존재론적 해명 / 김주완 이 논문은 철학연구 제53집, 대한철학회, 1994.11.01. 135~167쪽에 수록되었음. 시와 언어 : M.하이데거와 N.하르트만의 존재론적 해명 김 주 완 1. 들어가는 말 1.1. ‘시란 무엇인가?’ 이 물음은 시의 본질 또는 시의 정의에 대한 물음이다. 시인 구 상 교수는 시를 정의하기가 어렵고 불가능하다고 한다.1) 또.. 학술 논문/문학 논문 2001.01.01
[詩論] 시, 객체화한 정신 / 김주완 이 글은 『선주문학』 제8집(1989.07.)에 발표하였음. [詩論] 시, 객체화한 정신 김주완 1) “시란 무엇인가?” 이것은 시의 본질에 대한 물음이다. 여기에는 시의 존재가 전제되어 있다. 시의 “있음”이 없다면 “무엇인가?”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의 존재해명은 본질해명의 선결문제이.. 학술 논문/문학 논문 2001.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