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오悔悟 1 / 김주완 [제2시집『어머니』(1988)] 회오悔悟 1 / 김주완 알아야 할 것을 너무 많이 모르고 살았습니다. 잊어선 안 될 일들을 너무 많이 잊고 살았습니다. 꼭 생각해야 할 것을 못하고 살았습니다. 어머니, 한 치 앞만 허우적였습니다. 힘들었습니다. 한 몸 가누기가 그리도, 크고 깊은 구멍으로 바람이 불고 부대..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2시집 어머니[1988] 2011.03.11
회오悔悟 2 / 김주완 [제2시집『어머니』(1988)] 회오悔悟 2 / 김주완 젖을 먹고 자란 게 아니라 피를 빨며 컸습니다. 밥을 먹고 자란 게 아니라 어머니! 당신의 눈물로 사람이 되었습니다. 식솔들 입에 거미줄은 못 쳐 배급양계사료를 양식으로 빻으며 쇠절구 공이에 못 박히는 가난한 집안의 열여덟 고운 누님의 손. 설운 배..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2시집 어머니[1988] 2011.03.11
회오悔悟 3 / 김주완 [제2시집『어머니』(1988)] 회오悔悟 3 / 김주완 섣달그믐께 어머니가 손가락을 잃었네. 이불을 감고 앉은 어머니는 절절 끓는 구들방 아랫목에서 둥우리 속의 새처럼 훌쩍훌쩍 울고만 있었네. 등짐 추스르며 슬피 슬피 울고 있었네. 가난은 설 가래떡만큼이나 늘어지고 진일을 떠난 오른손 일곱 마디가 ..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2시집 어머니[1988] 2011.03.11
회오悔悟 4 / 김주완 [제2시집『어머니』(1988)] 회오悔悟 4 / 김주완 여긴 어딘가. 내 자리 우리 자리 형님은 거울인데 아버지도 거울인데 구석 한 자리에 숨어 보이지 않는 지금은 어느 땐가. 늪 속의 수초 한 잎 무얼 세우려고 살아 있는가 눌리고 있는가. 어떻게 돌아가면 되는가 어디로 돌아가면 되는가. 어디인가 그 곳은..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2시집 어머니[1988] 2011.03.11
회오悔悟 5 / 김주완 [제2시집『어머니』(1988)] 회오悔悟 5 / 김주완 <春> 엄마야 엄마야 우리 엄마야 싹 트고 움 돋는 저 봄날에 아롱아롱 하늘가 땅 어릿한 작오산 쑥 냉이 캐어다 먹던 보고 싶은 엄마야 울 엄마야 치마끈 어디 가 매달려서 설운 일 쓰린 속 모두 말할꼬. <夏> 엄마야 엄마야 우리 엄마야 처마끝 천.. 제1~7 시집 수록 시편/제2시집 어머니[1988] 201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