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예술의 자유 / 김주완 이 논문은 [철학연구] 제55집, 대한철학회, 1995.11.10., 55~68쪽.에 수록되었음. 예술의 자유 김주완(경산대학교) 1. 문제설정 ‘예술의 자유’라고 했을 때, ‘예술’이라는 개념이 집합 개념 또는 일반 개념인 한에 있어서 그것의 적용 범위는 지나치게 넓을 수밖에 없다. 먼저, 예술의 모든 종류와 영역에 .. 학술 논문/예술철학 논문·기타 2001.01.01
[논문] 시와 언어 : M.하이데거와 N.하르트만의 존재론적 해명 / 김주완 이 논문은 철학연구 제53집, 대한철학회, 1994.11.01. 135~167쪽에 수록되었음. 시와 언어 : M.하이데거와 N.하르트만의 존재론적 해명 김 주 완 1. 들어가는 말 1.1. ‘시란 무엇인가?’ 이 물음은 시의 본질 또는 시의 정의에 대한 물음이다. 시인 구 상 교수는 시를 정의하기가 어렵고 불가능하다고 한다.1) 또.. 학술 논문/문학 논문 2001.01.01
[詩論] 시, 객체화한 정신 / 김주완 이 글은 『선주문학』 제8집(1989.07.)에 발표하였음. [詩論] 시, 객체화한 정신 김주완 1) “시란 무엇인가?” 이것은 시의 본질에 대한 물음이다. 여기에는 시의 존재가 전제되어 있다. 시의 “있음”이 없다면 “무엇인가?”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의 존재해명은 본질해명의 선결문제이.. 학술 논문/문학 논문 2001.01.01
[논문] H. G. 가다머의 놀이와 예술작품 / 김주완 이 논문은 [철학연구] 제46집, 대한철학회, 1990.07.25, 169~190쪽.에 수록되었음. H. G. 가다머의 놀이와 예술작품 김주완(대구한의대) 1. 들어가며 1960년에 출판된 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진리와 방법』(Wahrheit und Methode : Grundzü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은 “20세기의 기념비적인 작품1)이라고 리차드·E.. 학술 논문/예술철학 논문·기타 2001.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