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키스트 자유주의/아나키스트 자유주의

아나키스트 하기락 교수 연보

김주완 2023. 4. 23. 11:39

아나키스트 하기락 박사 얼굴사진
하기락 연보[수정본]-2023.08.16.pdf
0.08MB

하기락 연보

허유 하기락의 생애
1912 126, 경남 함양군 안의면에서
아버지 경출(璟出)과 어머니 거창 신거부(愼居部)2남으로 출생
1917~1922 서당에서 한문 서예 수학
1923 땋은 머리를 깎고 서당에서 6년제 보통학교로 옮김
1927 안의공립보통학교 졸업(전교 수석으로 도지사 표창을 받으며 5년만에 졸업)
1928 경성제2공립고등보통학교 입학
1929 광주학생사건에 선봉으로 가담하여 무기정학
(이때부터 아나키스트 입장에 섬)
1931~1933 경성중앙고등보통학교 편입 및 졸업
(일본 아나키스트 기관지 흑기를 학생서클에 보급 선전)
1934 경주 최재전 여사와 결혼(슬하에 81녀를 둠)
1934 일본 동경으로 건너감
1935~1937 동경 상지대학 예과 수료
1939 항일 학생 운동으로 일경에 검속되어 6개월간 수감
1937~1940 와세다대학 문학부 철학과 졸업
(졸업논문 : 하이데거에 있어서의 공간성과 시간성의 문제-일본어 원문)
1940 황해도 재령상업전수학교 교사로 재직 중 경찰 강압으로 퇴직하여 귀향함
1945 한국자유농민조합 창설 및 조합장 피선
그 후 대의원대회장에 게첩된 <스탈린과 모택동 동지 만세>라고 쓴 현수막을 보고 그 자리에서 농민운동을 버림
자유사회건설자연맹(약칭 自聯, F.S.B.F.) 결성대회(서울 종로) 참여
1946 경남북 아나키스트 대회(부산 금강사) 참가
전국 아나키스대 대회(경남 안의 용추사) 개최
독립노농신문 편집
부산 자유민보 창간 및 주필 취임
1947 대구대학(영남대학교 전신) 철학과 주임교수
1952 독립노농당 경북지구특수위원회 위원장
1952 안의고등학교 설립, 재단이사장 취임
1952~1954 청마 유치환 시인을 안의중학교 교장으로 초빙
1953~1968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주임교수(1968.10.퇴임)
1955~1958 청마 유치환 시인을 경북대 국문과 교수로 초빙(1학기 간 강희 후 사임)
1956 대구 중구 삼덕동 3359(7, 마당 넓은 집)을 구입하여 이사(칠성동 경북대학교 교수사택에서 옮겨옴)
1960~1961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
1960 친구인 청마 유치환 시인의 소개로 김춘수 시인을 해인대학(현 경남대학)에서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학과 교수로 초빙 유치
1961 대구시 대학교육회 회장
1963 한국칸트학회(현 대한철학회) 창립 및 초대 회장
1964 철학박사 학위 취득
(경북대학교/논문 : N. 하르트만에 있어서의 범주체계의 문제)
1965 경북학술문화상 수상
1965~1969 한국철학연구회 회장
1969~1972 동아대학교 초빙교수(초대 문교부 장관을 지낸 안호상 박사와 함께 월 1~2일 강의만 하고도 상당한 보수를 받아서 생활에 어려움이 없었다)
박정희 정권의 10월유신(1972.10.) 이후 12월에 사퇴함으로서 교수생활은 막을 내리게 되었고 이후 정상적인 수입이 없이 1979년까지 유신정권 중앙정보부의 압박을 받으며 곤궁한 생활을 이어가다.
1969.8.5. 주민등록법 시행(대구 중구 삼덕동 3259)
1970.9.7. 대구 동구(현 수성구) 파동 58-2로 이사(2층 양옥집을 직접 신축)
1971.3.25. 서울 성북구 미아9791-985호 셋집(2, 부엌1)으로 이사
1972.8.20 서울 종로구 동숭동 동숭아파트 22506(오래된 서민아파트 방2) 이사
1973.1.27. 신민당의 반 유진산계가 중심이 되어 <민주통일당>이 창당하고 양일동이 대표최고의원으로 선출되면서 하기락은 정책위 의장 겸 간사장으로 선출됨
신민당의 양일동김홍일장준하윤제술김선태 등 진보혁신계 인사들과 아나키스트 지도자인 정화암최갑용하기락 등이 참여하여 창당한 <민주통일당>은 유신체제에 항거하는 유일한 정당이었음
이때 정치적 망명 상태로 일본에 체류하던 김대중도 사실상 민주통일당의 지도자격이었으며, 같은 해 8.8. 양일동과 국회의원 김경인(김대중의 조카뻘)이 일본 도쿄의 그랜드팔레스 호텔에 김대중을 만나러 갔는데 그 자리에 한국의 중앙정보부 기관원들이 나타나 김대중을 납치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김대중 납치 사건>139시간만인 813일에 서울 자택 부근에서 김대중이 풀려남으로써 종료된다.
1973.2.27. 9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2선거구(대구시 남구·동구) 출마, 이효상 국회의장과 경쟁하여 낙선
1973.7.9. 선거 패배 후, 민주통일당의 운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동숭동의 산동네아파트를 처분하고
서울 성동구 금호동2126(산동네 셋집, 가게1, 1)으로 이사하여 구멍가게를 열다 매일 새벽 4~7시에 짐자전거를 타고 용산채소시장에 나가 각종 채소류를 구입하여 와서 부인이 판매하여 생활비를 충당하였다. 하기락은 오전에 버스를 타고 종로 31빌딩 건너편의 민주통일상 사무실로 출근하여 업무를 보았는데 중앙정보부 요원의 집요한 감시가 있었음을 물론, 협박 회유를 받기도 했다. 당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2번씩이나 금호동 집으로 찾아오기도 했으며 이효상 국회의장과 같이 편안하고 풍요로운 삶을 보장해 줄텐데 왜 이렇게 힘들게 사느냐?”고 하면서 설득하였으나 하기락은 독재정권에는 협력할 수 없다며 단호히 거절함.
1974,4,9, 중앙정보부의 강압(“5일 안에 서울을 떠나지 않으면 대구지역에서 교수, 고사로 재직하고 있는 자식들의 앞날을 망가뜨리겠다”)을 받고 아무 준비도 없이
경남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847 동생 하충현이 제2양조장으로 운영하다가 비워 둔 빈집으로 귀향(안의 시내에서 약 10km 거리)하다.
1952년 이래 맡아온 안의고등학교 재단이사장직을 장남 하영석(경북대 철학과 교수)에게 양도하고 하기락은 안의고등학교 국민윤리과목 강사직을 맡아 생계를 유지함.
1974.10 경남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 금천 냇물 건너 둑방길에 한옥을 직접 지어 이사하고
1975.2.6. 63세에 금쪽 같은 막내딸 현()이 출생하다
1975.6.7. 대구 동구 신암5194 신암아파트 215(2, 10) 구입하여 이사
1975 건국대, 연세대 시간강사
1977~1978 청주대학교 대우교수(청주대학교 제4대 학장(1958.4.1.~1962.6.29.)을 역임한 아나키스트 은사 이정규(李丁奎 1887-1984)의 주선으로 초빙됨)
1977.6.3. 서울 종로구 청운동 산4번지 7호 청운아파트 1307(2, 10) 이사
한국아나키즘 운동사집필
1978.12.18. 서울 도봉구 번동 433번지 35호로 이사
1979.5.31. 대구 동구(현 수성구) 만촌동 990-44(개량식 안옥)으로 이사
1979 계명대학교 대우교수(백승균 교수의 주선으로 자리잡아 만년까지 재직함)
1984 세계 아나키스트 대회(이탈리아 베네치아) 참석, 영문판 한국 아나키즘운동 약사배부
1987 경북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고문
전국아니키스트 대회(계명대학교 중앙도서관/기조강연 : 구상 시인) 개최
1988 세계 아나키스트대회 서울 유치(세종문화회관) 세계평화를 위한 국제 세미나개최
<국제평화협회> 발기
1989 샌프란시스코 아나키스트대회 기조연설(국가의 실체와 군사력의 해소)
1989 국제아나키스트연맹 한국 대표
1990 <사회주의정당> 창당 준비위원장(서울 YWCA 강당)
구 소비에트 과학아카데미 공식초청 및 방소 강연(구 소련 해체 전 / 한소 수교 전)
(장소 : 모스크바 철학연구소 / 논제 : 한소관계의 과거와 현재)
스웨덴 신디칼리스트(노동조합 운동)(스톡홀름) 발표(정경유착의 실례와 그 구조적 개혁 방법)
국제평화협회 이사장
국제평화협회 기관지 평협발행인
1993 <대구 아나키즘 연구회> 출범
1995 여름 대구경북 아나키즘연구회, 부산경남 아나키즘연구회 연합하계수련회 12(경남 함양군 안의면 용추사 계곡)
1997.2.3. 타계
평협의 배포를 위해 집을 나서다 마당에 쓰러져 뇌진탕으로 사망
(대한철학회장으로 4일장 거행 / 영결식:02.06. 경북대병원 장례식장)
2002.6.8. 68,12:00 경남 함양군 안의면 안의공원에 학덕비 건립
허유 하기락의 저작 연보
1940 논문 하이데거에 있어서의 공간과 시간의 문제 와세다대학 졸업논문(일본어)
1955 역서 빈델반트 저, 철학개론 문성당
1957 저서 철학개론 문성당
1958 역서 N. 하르트만 저, 철학입문 형설출판사
1959 논문 인간학의 과제 동양출판사
1960 저서 서양철학사 형설출판사
1960 저서 니이체 사상계사
1960 논문 변증법의 본질과 계보 동양출판사
1960 논문 비극의 철학 동양출판사
1960 논문 니콜라이 하르트만 동양출판사
1960 논문 화담철학 경북대학교
1961 저서 서양철학사 영신문화사
1961 논문 우주에 있어서의 인간의 위치 범조사
1961 논문 니힐리즘의 역사 경지사
1962 논문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 박우사
1962 논문 하르트만에 있어서의 온토로기의 형성과정 경북대논문집
1963 저서 물질과 신과 인간 구미서관
1963 편저 사랑과 모랄의 진리 구미서관
1964 논문 N. 하르트만에 있어서의 범주체계의 문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65 논문 Modern Spirit and Spiritual of Today 고려대학교 국제회의 발표
1966 논문 자연의 범주체계 철학연구 3
1966 논문 자연의 범주체계 철학연구 4
1966 논문 자유화의 모순논리 정경연구
1966 논문 인생의 장() 박우사
1967 논문 자연의 범주체계 철학연구 5
1967 논문 것의 있음은 어떻게 주어지나 동아대 출판부
1968 저서 개고 서양철학사 동아대 출판부
1971 저서 학문과 인생 형설출판사
1971 저서 하르트만 연구 형설출판사
1971 저서 니이체론 형설출판사
1972 역서 G. Woodcock , 아나키즘 형설출판사
1972 역서 마르크스 저, 도이체 이데올로기 경제학철학 수고 형설출판사
1972 역서 쏘련의 신화와 현실 형설출판사
1977 논문 철학에 있어서의 주체의식과 원효의 화쟁논리 철학연구 24
1978 편저 한국아나키즘 운동사 형설출판사
1979 논문 우리는 서양철학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철학연구 28
1981 논문 주리론의 전망 철학연구 32
1981 저서 서양사회사상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3 역서 니콜라이 하르트만 저, 윤리학 형설출판사
1983 역서 니콜라이 하르트만 저, 존재학 원론 형설출판사
1983 저서 미와 예술에 대한 반성의 역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3 역서 크로포트킨 저, 전원공장작업장 형설출판사
1983 역서 크로포트킨 저, 상호부조론 형설출판사
1983 역서 볼린 저, 1917-러시아 혁명의 교훈 세음사
1984 역서 니콜라이 하르트만 저, 존재학 양상론 형설출판사
1984 역서 니콜라이 하르트만 저, 철학입문 철학교재편찬위원회
1984 저서 니이체철학 형설출판사
1984 역서 베른슈타인 저, 마르크스주의의 수정 형설출판사
1985 저서 탈환 형설출판사
1985 역서 다니엘 게렝 저, 아나키즘 중문출판사
1985 저서 철학개론(증보판) 형설출판사
1986 저서 서양윤리사상사 형설출판사
1986 저서 A History of Korean Anarchist Movement Pub. FAK
1987 역서 니콜라이 하르트만 저, 존재학 범주론 형설출판사
1990 역서 니콜라이 하르트만 저, 정신철학원론 이문출판사
1992 저서 조선철학사 형설출판사
1993 역서 니콜라이 하르트만 저, 자연철학 도서출판 신명
1993 저서 조선철학의 체계적 이해 도서출판 신명
1993 역서 크로포트킨 저, 근대과학과 아나키즘 도서출판 신명
1993 역서 크로포트킨 저, 빵의 쟁취 도서출판 신명
1993 저서 자기를 해방하려는 백성들의 의지 도서출판 신명
1994 저서 하르트만 연구 형설출판사
1994 저서 조선철학의 유맥 국민문화연구소
1995 기조논문 역사의 발전과 인간의 해방 한국철학회
1995 발의문 조국통일발의문 국제평화협회
1996 편저 칸트-비판철학의 이해를 위하여 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