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밭 가는 길 3
김주완
흙먼지 날리며 타박타박 오르던 언덕길을 다시 간다, 지금은 포장된
도로 옆으로 찔레넝쿨이 없어졌다, 싸하니 코를 뚫고 가슴으로 파고
들던 찔레꽃 향기도 없어졌고, 낙동강을 도하한 인민군의 해골이 숨
어 있던 도랑의 풀숲도 없어졌다, 이 길 오르면 아홉 덩이 바위가 있
어 이름도 돌밭石田인 마을이 있다, 광주 이씨가 우거寓居하여 세거
지지世居之地로 삼고 먼저 자리 잡은 벽진이씨와 아랫돌밭 웃돌밭으
로 오순도순 살아온 옛 고을이다,
구왜관이 있던 백포산성터는 강 건너에 있고 이쪽에 있는 소읍 왜관
의 시가지도 저 아래이다, 높은 곳에서 아래를 바라보는 곳이라 하여
'관터'라고도 불리는 이곳에서 벽진이씨, 광주이씨 양반네 선조들은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왜인들을 보며 망연했을까, 왜인들이 물러
가자 뒤이어 미군들이 널널이 들어오고 기지촌이 자리 잡을 때 그들은
또 무슨 생각을 하였을까
수난의 땅, 가운데 자리 잡은 돌밭의 발치로 경부선 열차선로가 놓여
있다, 낙동강 철교를 쿵쿵쿵 건너와 자고산 기차 굴을 빠져 나온 완행
열차는 늘 기적을 울리며 풀썩풀썩 허공으로 연기를 쏟아냈다, 워크라
인*을 밀고 밀리며 산화한 피아간의 병사들, 차마 떠나지 못한 영혼들
이 그때마다 벌떡벌떡 일어나곤 했다,
언덕배기를 지나면 금방 문양文陽할매 대갓집이었다, 집 뒤쪽으론 너
른 과수원이 아득히 열려 있었다, 날아갈듯 들어 올려진 부연에 기가
죽으며 들어서는 기와집 안채에는 문양할매가 안방 아랫목에 앉아 있
었다, 단아한 한복차림의 눈이 크고 얼굴이 맑은 문양할매는 까치가
파먹다 만 사과를 내와서 깎아주었다, 문양할배의 사랑채에선 간혹 헛
기침 소리만 들려왔다,
돌밭 사과가 핏빛으로 익는 이유를 그때 나는 모르고 있었다,
* 워크라인 :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8월 1일 미군의 워크 중장이
설치한 낙동강 방어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