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특별기획⑥_(프로시딩 31~32쪽) 허유 하기락(1912-1997)과의 만남: 하르트만과 하이데거 사이에서, 그리고 아나키즘을 통해 김 재 철(경북대 철학과 교수) 1. 허유 하기락의 철학(해방기와 민주화 시기): 하이데거에서 하르트만으로 1.1. 1920년 대 신칸트주의의 아성인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두 철학자의 만남“층존재론자의 연구실에 불이 꺼지고 기초존재론자의 연구실에 불이 켜졌다.”1차 세계대전 후 신칸트주의로부터 벗어나 인간존재의 현사실성에 대한 연구1.2.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인간은 존재이해로부터 세계를 형성하는 자; 세계는 실존적 기투의 기반으로서 유의미성을 가진 지평; 피투성보다는 자유로운 기투성의 강조1.3. 하르트만의 존재론과 가치론인간의 피투성 강조 ? 자연의 입법자? 기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