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언어 : M.하이데거와 N.하르트만의 존재론적 해명 김 주 완(시인/철학박사) 시란 무엇인가? ○ 해답을 꼭 알아야 하는 것이 아니다. -- 사람들은 자식을 잘 만들고 잘 키운다. 시인들은 시를 잘 쓴다. 모든 예술가들이 예술창작을 잘 한다. 善琴奕者不視譜(선금혁자불시보) (淸 魏源 ) 거문고나 바둑에 뛰어난 이는 악보나 기보에 매달리지 않는다. 시, 음악, 美에 대한 동양적 정의 ○ 不學詩 無以言(불학시 무이언) 시를 배우지 않으면 (말답게) 말할 것이 없다 不學禮 無以立(불학례 무이립) 예를 배우지 않으면 설 수 없다 ( 論語 ) ○ 興於詩 立於禮 成於樂(흥어시 입어예 성어악) (論語 卷8 泰伯-8) 시로써 즐거운 감정을 일으키고 예로써 인격을 세우며 음악으로 완성된다 ○ 爲之楽, 以宣其湮鬱(위..